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트윈 시티즈 역사

     

    미네소타 대학교 트윈 시티즈는 미국 미네소타주 최대 도시인 미니애폴리스와 주도인 세인트폴에 소재하고 있는 미국의 명문 주립대학이다. 미네소타 대학교 트윈 시티즈 캠퍼스는 미시시피 강을 중심으로 미니애폴리스와 세인트폴 두개의 도시에 나란히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두 지역이 쌍둥이 도시라는 별칭을 가지게 되었다. 미네소타 대하교 트윈시티즈 캠퍼스는 미네소타 대학교 시스템에서 중심이 되고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본교 격인 대학이다. 학생들과 지역주민들은 미네소타 대학교를 약칭 U of M  혹은 The U 라고 부른다. 1851년 2우러 대학 예비학교로 설립되었으며 미국의 남북전쟁 기간 중 재정난으로 일시 폐교되었으나 지역의 기업가인 John Sargent Pillsbury의 도움으로1867년 다시 문을 열었다. 이때 주 상원의원과 주지사를 지내고 대학의 이사로 활동하던 필즈베리의 지원아래 주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그랜트 유니버시티가 되었다. 1873년 최초로 문학사를 배출하고, 1888년에는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미네소타 대학교는 본교 격인 시티즈 캠퍼스를 중심으로, 1947년 덜루스 캠퍼스, 1960년 모리스 캠퍼스, 1966년 크룩스톤 캠스,  2006년 로체스터 캠퍼스를 각각 신설하여 5개의 캠퍼스를 하나의 대학 시스템으로 통합한 뒤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학교 순위

     

    미국 내에서 가장 유서 깊은 공립대학 중 한 곳으로, 대다수의 학과가 미국 대학교 전체 프로그램 순위 20위 안에 포함된다. 아이비 리그 수준의 교육을 공립대학의 학비로 제공하는 대학교를 의미하는 Public Ivy 중 하나로 꼽힌다. 2013년 세계대학 학술 순위에서 세계 29위를 기록했다. 전미 대학 학부 순위를 측정하는 US news에서는, 사립 대학들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50위권대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좋은 평판을 유지하고 있다. 상당히 저렴한 학비로 인해 한국을 포함한 유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 대학원 연구 중심의 대학으로 명성이 높다. 미국 전체 대학 중 17번째, 공립 대학 중 9번째로 R&D 지출 규모가 칸 대학이다.대학원의 경우 가장 공신력이 높은 미 국립과학연구원의 2010년 박사과정 프로그램 평가 순위에서 1위 곤충학, 독일어 문학, 3위 미국학, 4위 항공공학, 5위 생태학, 화학공학, 스페인 및 포르투갈어문학, 6위 기계공학, 7위 간호학, 10위 역학, 재료공학, 11위 생물통계학, 경제학, 13위 천체물리학, 심리학, 14위 통계학, 15위 전기공학, 동물학, 경영학, 16위 지질학, 화학, 17위 생물공학, 신경과학, 지구물리학, 19위 수학, 아동심리학, 연극학, 20위 컴퓨터 과학, 전산학이다. 

     

     

    유망학과

     

    미네소타 대학교는 생물학과 농학 등 생명과 식량에 관한 부분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학교다. 대표적으로 2차 세계대전 중 미군의 전투식량이엇던 K레이션을 대발한 식품공학과가 있다. 특히 무의미한 이론 교육에서 벗어나기 위해 실전 연구 능력 증진을 고려한 교육 과정으로 유명하다. 지역 특성상 지리학과, 심리학과, 신문방송학과, 교육학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심리학은 항상 전미 10위안에 드는 막강한 학교로 꼽힌다. 전세계에서 널리 쓰이는 미네소타다면적 인성검사가 이 학교 교수지들의 작품이다. 심리학과 생물학 모두 다양한 실험 가능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포츠 매니지먼트 학과의 경우 전미 2위에 랭크되어있다.경제학에 있어서 상위20위 안에 들며 거시경제학으로 유명하다. 또한 미국에서 학위를 제공하는 단일 학과로서는 거의 유일하게 주거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주거학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교육을 맏고 있은 학생은 미네소타 대학교가 아니라면 영연방쪽 학교들로 유학을 가야 한다. 본교에서는 이 학과의 개설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며 몇 년 전부터는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주거학으로 일반 학위 뿐 아니라 달기교육 과정을 통한 수료증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반응형